라벨이 상품수지인 게시물 표시

경상수지 뭔가요? - 쉬운설명

이미지
  경상수지란 뭘까요? 경상 수지는 우리나라로부터 나간 돈과 들어온 돈의 차이를 말합니다. 경상 수지가 흑자 라면 우리나라가 벌어들인 돈이 나간 돈보다 많다는 뜻이고, 적자라면 나간 돈이 더 많다는 뜻이 됩니다. 경상 수지는 아래 4가지 항목들을 종합하여 결정합니다. 상품 수지: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계산한 것으로 수출이 수입보다 많게 되면 벌어들인 돈이 더 많게 되는 것이므로 이때 상품 수지는 흑자라고 말합니다. 반대로 수입이 많으면 적자 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 강국으로 상품 수지 부분에서 대체로 흑자를 내고 있습니다. 서비스 수지: 교육, 관광, 운송처럼 형태가 없는 서비스 부분에서의 수입과 지출의 차이입니다. 가령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유학생보다 외국으로 유학 가는 한국인들이 많고 쓰는 돈도 많다면 이는 교육 부문에서 서비스 수지가 적자가 되게 됩니다. 또 우리나라 선박 운송 업체가 해외 기업에 물품을 운송해 주고 대금을 받게 되면 이는 서비스 수지에 있어서 흑자로 작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소득 수지: 소득 수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축구 선수 손흥민을 떠올려 보시면 됩니다. 손흥민 선수가 해외 축구팀에서 일하며 벌어들인 수익은 해외 자본이 유입되는 것이므로 소득 수지에 있어서 흑자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전 수지: 대가가 따르지 않는 국제 거래 수지입니다. 하나의 예로 기부나 구호 활동을 들 수 있는데요. 해외에 큰 화재가 발생해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었다면 이전 수지 적자로 작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경상 수지는 적자 혹은 흑자로 표현 됩니다. 보통 상품 수지나 서비스 수지에 비해 소득 수지나 이전 수지는 크지 않기 때문에 상품 수지와 서비스 수지가 경상 수지의 큰 비중을 차지 하며 우리나라는 주로 상품 수지에서 흑자, 서비스 수지에서 적자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경상 수지가 흑자라면 상품수지 흑자가 서비스 수지의 적자보다 더 컸구나라고 유추해 볼 수 있습니...